어제 (11월 14일 화) 기획재정부에서 [국제통화기금(IMF) 연례협의 ]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해서 이 내용을 올립니다. 이 회의결과엔 한국에 대한 단기 전망과 경기 전반에 대한
예상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시간 나실때 읽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국제통화기금(IMF) 연례협의 내용 요약
한국의 단기 전망은 고조된 지정학적 긴장에도 불구하고 개선되고 있다.
경제성장은 2016년 하반기의 둔화 이후 올해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특히 IT와 건설 부문을 중심으로 한 투자 신장에 기인한다.
수출 증가도 대외 여건과 반도체에 대한 글로벌 수요 증대로 호조를 보이고 있다.
경기 회복세는 완화적 통화정책에 따른 역대 최저 수준의 대출금리 및 장기 채권수익률을
통해 뒷받침되고 있다.
2017년 GDP 성장률은 3분기 동안의 모멘텀이 지속되면서 3.2%를 기록할 전망이다.
전체 실업률은 3.8%(계절조정) 정도를 유지하고 있으나, 청년 실업률은 9월 기준 10.0%(계절조정)로
현저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연례협의 결과 전문
타르한 페이지오글루(Tarhan Feyzioglu) 단장을 대표로 한 국제통화기금(IMF) 협의단은
11월 1일부터 14일까지 2017년 연례협의(Article IV Consultation)를 위해 서울을 방문했다.
협의를 마무리하며 페이지오글루 단장은 다음 발표문을 발표했다:
한국의 단기 전망은 고조된 지정학적 긴장에도 불구하고 개선되고 있다. 경제성장은 2016년
하반기의 둔화 이후 올해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특히 IT와 건설 부문을 중심으로
한 투자 신장에 기인한다. 수출 증가도 대외 여건과 반도체에 대한 글로벌 수요 증대로 호조를
보이고 있다. 민간소비는 올해 들어 3분기 동안 개선되어 왔지만 여전히 경제성장률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경기 회복세는 완화적 통화정책에 따른 역대 최저 수준의 대출금리
및 장기 채권수익률을 통해 뒷받침되고 있다. 전체 실업률은 3.8%(계절조정) 정도를 유지하고
있으나, 청년 실업률은 9월 기준 10.0%(계절조정)로 현저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경기순환적(cyclical) 회복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GDP 성장률은 3분기 동안의
모멘텀이 지속되면서 3.2%를 기록할 전망이다. 2018년 GDP 성장률은 최저임금의 큰 폭 상승
및 고용과 사회복지 지출을 지원하는 정책들에 힘입은 민간소비 증가로 인해 3.0%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은 글로벌 무역 호황에 따라 수혜를 입을 것이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2017년에는 GDP 대비 5.6%로 전망된다. 가계부채는
중요한 금융안정 리스크 요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시건전성 정책들이 현재까지는
금융안정 관련 도전 과제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구조적 문제는 견조하고 지속가능한 장기성장으로의 복귀를 저해한다. 잠재성장률은 1990년대
초반의 7%에서 3% 이하로 하락했다. 이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부정적인(adverse)
인구구조 및 생산성 증가 둔화에 기인한다. 양극화와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 노인 빈곤은 여타
OECD 국가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은 수준이며, 실업 및 비경제활동 상태에 있는 청년 비중도 높다.
불충분한 사회 안전망, 노동시장 및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이중구조가 이러한 불평등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들이다. 한편, OECD 평균 대비 낮은 사회보장 수준이 예비적 저축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과도한 대외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다.
새 정부는 저성장 및 소득 불평등을 극복하기 위한 종합적인 경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으로 불리는 동 프로그램은 소득주도 성장, 일자리 창출,
공정경쟁 및 혁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재정정책은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고 과도한 대외 불균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더욱 확장적인 기조를
보일 필요가 있다. 이는 가장 취약한 계층에 대한 맞춤 지원, 보육 관련 지출 및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Active Labor Market Policies) 등을 포함한 사회보장 정책 및 구조개혁에 대한 지출 확대를
통해 상당 부분 달성되어야 한다. 한국은 채무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리스크 없이 단기 및
중기적으로 균형(zero) 구조적 재정수지를 달성할 수 있는 충분한 재정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 인플레이션 압력은 약한 수준이며,
GDP갭은 추청치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지만 마이너스 상태이다. 조기의 결단력 있는
재정기조 완화는 정책조합(policy mix)의 재조정(rebalancing)을 촉진할 수 있다.
현재의 경제성장 모멘텀은 적극적인 구조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잠재성장률이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노동생산성이 여전히 미국의 50% 정도
수준에 머무르는 상황에서는 고용 증대와 생산성 향상이 정책의 우선순위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품시장 및 노동시장의 경직성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개혁과 여성의 노동시장
참가를 확대할 수 있는 정책이 수반되어야 한다. 소득 불균형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포용적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이 요구된다. 재정정책과 구조개혁은 경제가 내수 활성화로
재조정되는 것을 촉진해야 한다.
한국은 노동시장 정책의 근간으로 ‘유연안정성(flexicurity)’을 도입해야 한다.
이는 세 개의 축을 필요로 한다: (i) 정규직에 대한 유연성 확대; (ii) 실업자에 대한 강력하고
포용적인 사회 안전망 구축; (iii)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Active Labor Market Policies).
유연안정성의 기본 원칙은 일자리가 아닌 근로자를 보호하는 것이다.
이는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술적 및 구조적 변화의 수요에 적응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새로운 노동시장 구조를 형성할 것이다. 유연안정성은 탄탄한 근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모든 사회 참여자들의 신뢰와 주인의식, 그리고 사회적 대화에 있어 비노동조합 근로자,
중소기업 및 자영업자를 포함한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혁신 지원 및 생산성 증대에 주안점을 둔 정부정책은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된다.
혁신을 장려하고 규제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지원 네트워크를 도입하고 있다. 이미 철도와
이동통신과 같은 네트워크 산업에서 규제 완화가 시행되었다. 10년 이내에 OECD 기술선진국과의
격차를 없애는 수준으로 규제 부담을 추가적으로 완화할 경우, 10년간 연간 잠재성장률을 0.3%p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정책은 취약한 기업에 대한 보호가 아닌 성장 및
혁신을 촉진하는데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IMF 협의단은 방문 중 한국정부가 보여준 최상의 협조와 따뜻한 환대에 대해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달한다.
국제통화기금(IMF) 연례협의 결과 원문
An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staff team led by Tarhan Feyzioglu visited Seoul during November 1–14 to conduct discussions for the 2017 Article IV Consultation. Mr. Feyzioglu issued the following statement at the conclusion of the visit:
“Korea’s near-term outlook is improving despite elevated geopolitical tensions. After slowing in the second half of 2016, growth is picking up this year, led by a strong expansion in investment, especially in the IT and construction sectors. Export growth strengthened thanks to improving external conditions and high global demand for semiconductors. Private consumption growth picked up over the first three quarters of this year but remains below economic growth. Recovery has been supported by an accommodative monetary policy, with lending rates and long-term yields close to record lows. The unemployment rate is hovering around 3.8 percent (seasonally adjusted) but remains significantly higher for youth, at 10.0 percent (seasonally adjusted) in September.
“The cyclical recovery is expected to continue. GDP growth is projected at 3.2 percent in 2017, as the momentum in the first three quarters continues. In 2018, growth is forecast at around 3.0 percent, with private consumption growth benefitting from the large minimum wage increase and from policies supporting employment and social spending. Exports will benefit from the strong global trade. The current account surplus remains substantial and is projected to be 5.6 percent of GDP in 2017. Household debt is the main financial stability risk; nevertheless, macroprudential policies are effectively addressing the financial stability challenges so far.
“Structural headwinds hinder a return to strong and sustainable long-term growth. The potential growth rate has fallen from 7 percent in the early 1990s to below 3 percent. This reflects adverse demographics and slowing productivity growth, which is projected to continue over the longer term. Polarization and inequality are worsening. Old-age poverty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rest of the OECD, and the rate of unemployed and inactive youth is high. An inadequate safety net and duality in labor markets, and betwee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and large companies, are key contributors to this inequality. Moreover, low social protection relative to the OECD average boosts precautionary saving, contributing to excessive external imbalances.
“The new government is implementing a comprehensive economic program to address low growth and income inequality. The program—labeled “a paradigm shift”—focuses on income-led growth, job creation, fair competition, and innovation.
“Fiscal policy needs to be come significantly more expansionary to support growth and reduce excessive external imbalances. This should be achieved largely through higher expenditures on social policies and structural reforms, including targeted transfers to the most vulnerable, spending on childcare and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Korea has ample fiscal space to aim for a zero structural balance in the short and medium run without a risk to debt sustainability.
“The Bank of Korea should maintain its accommodative monetary stance. Inflationary pressures are weak, and the output gap is negative, with large uncertainty surrounding the estimates. Early and decisive action to ease the fiscal stance would facilitate a rebalancing of the policy mix.
“The current growth momentum represents an opportunity for ambitious reforms. With potential growth expected to continue its secular decline and labor productivity still at about 50 percent of that in the United States, the priority should be to boost employment and productivity growth. This would require reforms to address rigidities in product and labor markets, and policies to increase female labor market participation. Policy needs to support inclusive growth to counter growing income inequality. Fiscal and structural policies should facilitate rebalancing of the economy towards domestic demand.
“Korea should adopt ‘flexicurity’ as the basis for labor market policies. This involves three pillars : (i) more flexibility for regular workers; (ii) a strong and inclusive safety net for the unemployed; and (iii)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flexicurity is that it protects workers rather than jobs. This would create a new labor market structure that is essential to adapt to the demands of technological and structural change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lexicurity needs a strong foundation, particularly trust and ownership by all social partners, with all stakeholders being part of the social dialogue, including non-unionized workers, SMEs and the self-employed.
“Government’s plans that focus on supporting innovation and fostering productivity growth are welcome. Support networks are being put in place to foster innovation and reduce regulatory costs. Already, regulations have been eased in some network industries, such as railways and telecommunication. Reducing the regulatory burden further, to close the gap with the OECD frontier within 10 years, could raise annual potential growth by more than 0.3 percentage point over this period. Government policy towards SMEs should prioritize fostering growth and innovation, rather than shielding weaker firms.
“The team would like to express its appreciation to the authorities for their excellent cooperation and warm hospitality during its visit.”
국제통화기금(IMF) 연례협의 결과 내용이었습니다.
'중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여성 무료직업소개소 정보 1PAGE (0) | 2018.01.02 |
---|---|
경북 포항 지진 발생에 따른 금융지원 방안 내용 (0) | 2017.11.17 |
2017년 10월 노동시장 동향 자료 정리 (0) | 2017.11.14 |
3/4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 정리 (0) | 2017.11.13 |
17.11월 최근경제동향 정리 (0) | 2017.11.11 |